어제 올린 똑딱이 손난로의 반응이 너무 좋아 이 시리즈로 계속 밀고 나가려고 한다.
읽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표한다.
오늘은 물건 하나 찾느라 서랍을 뒤지는 순간 사진 필름 뭉치를 발견하였다.
필름을 꺼내 빛을 비춰보니 거기에는 내 어린 시절이 담겨 있었다.
하여 오늘은 일회용 필름 카메라를 한번 써보려고 한다.
즐거운 순간, 아름다운 풍경, 맛있는 음식 등 우리는 사진을 찍어 그 순간을 남기려고 한다.
물론 그런 행위를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그때 그 순간을 잊지 않도록 기록을 남기려고 하는 거 같다.
지금이야 스마트폰으로 사진, 영상을 찍어 바로 볼 수 있고 공유를 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
나의 어릴 적 시대에는 사진을 찍는다!라는 것은 기대되는 일이었다.
우리 집은 필름 카메라를 가지고 있었지만 무거웠고 가지고 나가 잃어버리거나 부서지는 것이 무서워 막상 들고 가지는
못했다. 그래서 초등학교 수련회나 소풍, 수학여행 전 동네 슈퍼나 마트에 가서 일회용 필름카메라를 하나 샀었다.
그때 당시 일회용 카메라 가격이 한 5천 원으로 기억한다.(지금 시세로 한 2~3만 원쯤 할 것 같다)
위 사진처럼 색상으로 기억하실 것 같은데 사실 요즘 나오는 중국산 일회용 카메라고 저런 색상에 후지필름 아니면 캐논
카메라를 많이 팔곤 했다. 그래도 옛날 감성이 나서 이미지를 올려 보았다.
일회용 카메라는 작고 가볍지만 사진기의 기능만큼은 제 값에 충실한 녀석이었다. 약 20장 정도 찍을 수 있는 필름이 내장
되어 있으며 피사체를 볼 수 있는 렌즈, 또 어두우면 밝게 비추게 하는 플래시까지...
카메라의 기본은 다 갖추고 있는 녀석이었다.
사용법도 무지 간편하다. 뒤에 태엽감을 수 있는 것이 있는데 이걸 끝까지 돌려야 카메라를 찍을 수 있다.
만약 안 돌리면 사진 버튼을 눌러도 찍을 수가 없다. 일회용이다 보니 막 찍지 말라는 제조사의 배려 일 수 있겠다.
또 잔량 표시가 있어 사진이 몇 장을 찍었는지 또 몇 장이 남았는지도 볼 수 있게 구성해 놓았다.
참조로 지금 나오는 카메라는 모르겠지만 아마 첫 장은 테스트 용으로 아무 배경이나 찍으면 다음 장 부터는 자기가 원하는
사진을 찍으면 된다.
이 행위를 하는 경우는 첫장은 필름이 안 찍힐 수도 있기 때문에 한 장을 버리더라도 나의 사진을 위해선
이런 방법을 사용했었던 거 같다. (필자의 실패의 경험이었다.)
사진을 다 찍고 사진관 가서 현상을 맡기게 되면 약 하루 이상을 기다려야 사진을 받을 수가 있었다.
당시에는 모든 사람들이 필름 카메라로 사진을 찍었기 때문에 하루는 기본적으로 기다려야 하였다.
앞서 사진 찍는 것은 기대되는 일이었다고 하는 것은 바로 기다림 때문 인 것 같다.
사진현상을 한 것을 보면 '어? 이걸 왜 찍었지?', '웃기게 나왔네~', '즐거워 보이네~' 하며 신났던 모습이 생각이 난다.
나만 그런지 몰라도 일회용 카메라 사진 현상을 하면 '어? 이걸 왜 찍었지?'가 당연 1등이 아닐까? 싶다.
그때 그 시절이라고 해서 일회용 카메라가 없어진 건 아니다. 아직 버젓이 잘 팔고 있으며 가격이 좀 많이 올랐다.
한번 목록을 봤는데 요즘은 집 주변에 사진 현상하는 곳을 찾기가 드물 것이다. 일회용 카메라를 사면 현상까지 해주는
사이트도 있는 거 같아 보이니 한번 검색 후 찾아보길 바란다.
오늘은 3.1절이었다. 창문 밖에 태극기를 거는 것 밖에 하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만세이다.
조상님들의 희생으로 우리는 이렇게 살기 좋은 세상에서 살고 있는 거 같다.
모두 행복하길 바라며 오늘의 글은 이만 마친다.
모두 행복하길 바란다.

'그때 그 시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그때 그 시절] 덴버 판박이~ (30) | 2023.03.04 |
---|---|
[그때 그 시절]다이어리&필통 (20) | 2023.03.03 |
[그때 그 시절] Yo!Yo! 요요~ (24) | 2023.03.02 |
[그때 그 시절]똑딱이 손난로 (21) | 2023.02.28 |
[그때 그 시절]MP3를 접하다. (2) | 2023.02.27 |